맨위로가기

코모 190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모 1907는 1907년 이탈리아 코모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1913-14 시즌에 처음으로 최고 등급 리그에 진출했으며, 1949년에는 세리에 A로 승격했다. 1984년 다시 세리에 A로 승격하여 5년간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고, 1996-97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에서 우승했다. 2004년 파산 후 재창단되었으며, 2023-24 시즌 세리에 B에서 2위를 기록하며 21년 만에 세리에 A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롬바르디아주의 축구단 - US 크레모네세
    US 크레모네세는 1903년에 창단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와 B, C1을 오가며 활동하다가 1992-93 시즌 앵글로-이탈리안 컵에서 우승했으며, 2022-23 시즌에는 세리에 A에 참가했었다.
  • 롬바르디아주의 축구단 - 아탈란타 BC
    아탈란타 BC는 1907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코파 이탈리아 1회, 세리에 B 6회, UEFA 유로파 리그 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2016년 이후 유소년 선수 기용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 1907년 설립된 축구단 - 아탈란타 BC
    아탈란타 BC는 1907년 창단된 이탈리아의 축구 클럽으로, 코파 이탈리아 1회, 세리에 B 6회, UEFA 유로파 리그 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2016년 이후 유소년 선수 기용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다.
  • 1907년 설립된 축구단 - CFR 클루지
    CFR 클루지는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클럽으로, 2000년대 투자로 전력이 강화되어 리가 I과 루마니아 컵을 석권하고, 리가 I 5연패를 달성하는 등 루마니아 국내 리그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유럽 클럽 대항전에도 참가하는 클럽이다.
  • 세리에 A 구단 - 세리에 A 1997-98
    1997-98 세리에 A는 인터밀란의 호나우두 영입으로 화제를 모은 이탈리아 최상위 축구 리그로, 유벤투스가 우승하고 우디네세, AS 로마 등이 UEFA컵 진출, 브레시아, 아탈란타 등이 세리에 B로 강등되었으며 올리버 비어호프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세리에 A 구단 - SS 라치오
    SS 라치오는 1900년 로마에서 창단된 이탈리아 프로 축구 클럽으로, 세리에 A 2회 우승, 코파 이탈리아 7회 우승 등 국내외 대회에서 활약했으며 흰색과 하늘색을 팀 컬러로, 독수리를 상징으로 사용하는 AS 로마와의 로마 더비로 유명하다.
코모 1907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코모 1907 로고
코모 1907 로고
풀 네임Como 1907 S.r.l
별칭Lariani (코모호)
Azzurri(청색들)
연고지코모
창단1907년 5월 25일 (코모 풋-볼 클루브로 창단)
재창단2005년
2017년
소유SENT 엔터테인먼트 (자룸 그룹)
최고 경영자프란체스코 테라차니
감독세스크 파브레가스
홈구장스타디오 주세페 시니갈리아
수용 인원13,602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경기장 유니폼
홈 유니폼pattern_b1: _como2425h
body1: 0000DD
pattern_la1: _como2425h
leftarm1: 0000DD
pattern_ra1: _como2425h
rightarm1: 0000DD
pattern_sh1: _como2425h
shorts1: FFFFFF
pattern_so1: _3_stripes_white
socks1: 0000DD
원정 유니폼pattern_b2: _como2425a
body2: FFFFFF
pattern_la2: _como2425a
leftarm2: FFFFFF
pattern_ra2: _como2425a
rightarm2: FFFFFF
pattern_sh2: _como2425a
shorts2: 0000DD
pattern_so2: _3_stripes_blue
socks2: FFFFFF
세 번째 유니폼body3:
pattern_b3: _como2425t
pattern_la3: _como2425t
leftarm3:
pattern_ra3: _como2425t
rightarm3:
pattern_sh3: _juventus2425h
shorts3:
pattern_so3: _rmcf1415t
socks3: 000000
현재 시즌
리그세리에 A
시즌세리에 B 2023-24
순위세리에 B 2위 ([[파일:arrowupgreen.png]] 승격)

2. 역사

코모 1907의 역사는 1907년 5월 25일 코모 중심가의 타로니 바(Taroni bar)에서 코모 풋볼 클럽(Como Foot-Ball Club)이 창단되면서 시작되었다.[14][15] 초기에는 밀라노스위스 팀들과 친선 경기, 지역 토너먼트에 참가했으며, 1911년 10월 1일 벨린초나와의 친선 경기(3-1 승)로 캄포 비아 데이 밀레(Campo via dei Mille) 경기장 개장 행사에 참여했다.[15]

1912년, 코모는 학생 클럽 "미네르바(Minerva)"와 합병 후 프리마 카테고리아 예선에 참가했으나 사보나에 패배(3-1)하여 프로모지오네 롬바르디아 그룹에 등록되었다. 같은 해 11월 17일 브레시아를 상대로 5-0 승리를 거두며 첫 경기를 치렀다.[16] 이후 초청을 받아 1913–14 프리마 카테고리아에 참가, 1922년까지 최고 등급 리그에서 경쟁했다.[16][17]

1927년 "에스페리아(Esperia)"와 합병하여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코멘세(Associazione Calcio Comense)"로 개칭하고, 같은 해 코파 볼타(Coppa Volta)에서 인테르(준결승 3-0 승), 제노아(결승 1-0 승)를 꺾고 우승했다. 1928년에는 주세페 시니갈리아 경기장으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모는 1945년 밀란, 암브로시아나-인테르, 노바라 등이 참가한 토르네오 베네피코 롬바르도에서 우승하며 다시금 주목받았다. 이후 세리에 B에서 경쟁하다 마리오 바르글리엔 감독 아래 1949년 세리에 A로 처음 승격했다.

1960년대 초, 코모는 "베시 사건"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은 클럽이 영입한 수비수 파올로 베시의 출전 자격 문제로 인해 발생했으며, 코모는 결국 세리에 C로 강등되었다. 세리에 C에서 4년을 보낸 후, 1967–68 시즌에 마침내 승격했다.

1973-74 시즌에 주세페 마르키오로 감독 부임 후, 코모는 승격을 노렸으나 4위에 그쳤다. 다음 시즌에도 마르키오로 감독과 마르코 타르델리의 활약으로 세리에 A로 승격했지만, 한 시즌 만에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1978년 세리에 C1으로 강등된 후, 1978–79 시즌 세리에 C1에서 우승하고, 1979–80 시즌에는 세리에 B에서 승리하며 연속 승격을 달성했다. 이후 두 시즌 동안 세리에 A에 잔류했다.

1984년에 다시 세리에 A로 승격하여 5년간 클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단 코르넬리손과 스테파노 보르고노보의 공격진은 1986년에 9위를 기록했고, 이듬해에도 비슷한 성적을 냈다.

1990년대에 코모는 부진한 시기를 겪었고, 대부분을 세리에 C1에서 보냈다. 21세기 초, 짧은 부활을 경험했지만, 2004년 12월, 클럽은 파산을 선언했다.[19]

2005년, 새로운 구단인 칼초 코모가 창단되어 세리에 D에 참가했다.[15] 2015년, 코모는 세리에 B로 승격했지만, 한 시즌 만에 다시 레가 프로로 강등되었다. 2017년, F.C. 코모 S.r.l.는 파산했고, 새로운 소유주는 또 다른 새로운 회사인 코모 1907 S.r.l.를 설립하여 세리에 D에 참가해야 했다.[15]

2019년, 코모의 소유권 변경과 함께 새로운 로고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되었다. 새 로고는 방패 모양 안에 클럽 이름과 호수 물결 디자인이 그리스 십자 위에 겹쳐진 형태이다.[40]

2. 1. 창단 및 초기 (1907-1949)

1910년, 코모의 초기 선수단 중 하나.


코모 풋볼 클럽(Como Foot-Ball Club)은 1907년 5월 25일 코모 중심가에 위치한 타로니 바(Taroni bar)에서 창단되었다.[14][15] 초기에는 밀라노스위스 팀들과 친선 경기, 지역 토너먼트에 참가했으며, 1911년 10월 1일 벨린초나와의 친선 경기(3-1 승)로 캄포 비아 데이 밀레(Campo via dei Mille) 경기장 개장 행사에 참여했다.[15]

1912년, 학생 클럽 "미네르바(Minerva)"와 합병 후 프리마 카테고리아 예선에 참가했으나 사보나에 패배(3-1)하여 프로모지오네 롬바르디아 그룹에 등록되었다. 같은 해 11월 17일 브레시아를 상대로 5-0 승리를 거두며 첫 경기를 치렀다.[16] 이후 초청을 받아 1913–14 프리마 카테고리아에 참가, 1922년까지 최고 등급 리그에서 경쟁했다.[16][17]

1927년 "에스페리아(Esperia)"와 합병하여 "아소치아치오네 칼초 코멘세(Associazione Calcio Comense)"로 개칭하고, 같은 해 코파 볼타(Coppa Volta)에서 인테르(준결승 3-0 승), 제노아(결승 1-0 승)를 꺾고 우승했다. 1928년에는 주세페 시니갈리아 경기장으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 1930-31 시즌 게데온 루카스 감독 지휘 아래 세리에 B로 승격, 정규 시즌과 플레이오프에서 무패(32경기 90골 24실점)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 세리에 B에서는 마르코 로마노가 득점왕에 올랐으나, 팀은 9위로 강등을 간신히 모면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모는 1945년 밀란, 암브로시아나-인테르, 노바라 등이 참가한 토르네오 베네피코 롬바르도에서 우승했다. 이후 세리에 B에서 경쟁하다 마리오 바르글리엔 감독 아래 1949년 세리에 A로 처음 승격했다.

2. 2. 세리에 A 승격과 혼란기 (1949-1984)

1960년대 초, 코모는 "베시 사건"으로 인해 2부 리그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 사건은 클럽이 타우 알토파시오에서 영입한 수비수 파올로 베시를 출전시킨 것이 발단이었는데, 베시는 토스카나 지역 위원회에서 부과한 자격 정지 처분이 아직 끝나지 않은 상태였다.[15] 코모는 경기에서는 살아남았지만, 5번의 몰수 경기로 인해 세리에 C로 강등되었다. 세리에 C로 강등된 첫 해, 코모는 브루노 발라리니와 조반니 인베르니치를 중심으로 비니치오 비아니 감독의 지휘 아래 선수단을 개편하여 A조에서 3위를 차지했다. 세리에 C에서 4년을 보낸 후, 1967–68 시즌에 마침내 승격했다. 프랑코 비비아니 감독과 주장 브루노 발라리니의 지휘 아래 A조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발라리니는 코모 공식 경기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15]

1973-74 시즌에 주세페 마르키오로 감독 부임 후, 코모는 안토니오 리가몬티와 비토 칼리오니의 수비를 바탕으로 승격을 노렸으나 4위에 그쳤다. 다음 시즌에도 마르키오로 감독과 마르코 타르델리의 활약으로 세리에 A로 승격했지만, 한 시즌 만에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 1978년 세리에 C1으로 강등된 후, 코모는 마르키오로 감독과 람베르티 단장의 지원을 받아 1978–79 시즌 세리에 C1에서 우승하고, 1979–80 시즌에는 아드리아노 롬바르디를 앞세워 세리에 B에서 승리하며 연속 승격을 달성했다. 이후 두 시즌 동안 세리에 A에 잔류했다.

코모는 1984년에 다시 세리에 A로 승격하여 5년간 클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단 코르넬리손과 스테파노 보르고노보의 공격진은 1986년에 9위를 기록했고, 이듬해에도 비슷한 성적을 냈지만 득점은 적었다. 파스콸레 브루노가 이끄는 수비는 제 역할을 다했다.

2. 3. 세리에 A에서의 성공과 침체 (1984-2004)

코모는 1984년에 다시 최고 리그로 승격하여 5년간 세리에 A에서 활동하며 클럽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단 코르넬리손과 스테파노 보르고노보의 공격진은 1986년에 9위를 기록했고, 이듬해에도 비슷한 성적을 냈지만 득점 수는 훨씬 적었다. 파스콸레 브루노가 이끄는 클럽의 수비는 그 역할을 충분히 해냈다. 1990년대에 2번 연속 C1으로 강등되면서 코모는 부진한 시기를 겪었고, 1990년대 대부분을 세리에 C1에서 보냈다. 이러한 부진 속에서 유일한 예외는 1994–95 시즌에 세리에 B로 승격한 것이었다. 코모는 또한 1996–97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에서 노체리나를 합계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1세기 코모는 짧은 부활을 경험했다. 2001년 세리에 B로의 승격은 모데나와의 경기에서 발생한 끔찍한 폭력 사건으로 얼룩졌고, 그 결과 주장 마시밀리아노 페리뇨는 3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2–03 시즌에 세리에 A로 승격했지만, 세리에 A 복귀는 큰 실망을 안겨주었고, 팀은 시즌 내내 하위 2개 팀에 머물렀으며, 관중 폭력으로 인해 시니갈리아에서 경기가 금지되었다. 연이은 강등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초래했다. 2004년 12월, 클럽은 파산을 선언했다.[19]

2. 4. 파산과 재창단 (2004-2017)

2004년, 재정 문제로 인해 원래의 코모 칼초는 파산했다. 2005년에 새로운 구단인 칼초 코모가 창단되어 세리에 D에 참가했다.[15] 2008-09 시즌에 코모는 레가 프로 세콘다 디비시오네 지로네 A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승격에 실패했다. 그러나 이후 리그에 공석이 발생하면서 코모는 레가 프로 프리마 디비시오네로 승격하게 되었다.[15]

2015년, 코모는 세리에 B로 승격했지만, 한 시즌 만에 다시 레가 프로로 강등되었다. 2017년, F.C. 코모 S.r.l.는 파산했고, 이후 경매를 통해 아크라시 아피아의 부인이자 전 축구 선수 마이클 에시엔의 아내인 아코수아 푸니 에시엔이 구단을 인수하여 FC 코모로 이름을 변경했다.[15] 그러나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은 FC 코모의 세리에 C 참가를 거부했고, 새로운 소유주는 또 다른 새로운 회사인 코모 1907 S.r.l.를 설립하여 세리에 D에 참가해야 했다.[15]

2. 5. 새로운 소유권과 세리에 A 복귀 (2019-현재)

2019년, 코모의 소유권 변경과 함께 새로운 로고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되었다. 새 로고는 방패 모양 안에 클럽 이름과 호수 물결 디자인이 그리스 십자 위에 겹쳐진 형태이다. 이 디자인은 적용되는 표면에 따라 파란색 또는 흰색으로 표현되며, 빨간색은 사용되지 않는다.[40]

3. 선수단

2024년 8월 31일 기준으로, 코모 1907의 선수단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여러 국적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선수들은 에밀 아우데로 (골키퍼), 마르크올리버 켐프 (수비수), 벤 라신 코네 (미드필더) 등 다양한 포지션에서 활약하고 있다.

3.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1일 기준)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에밀 아우데로
2DF마르크올리버 켐프
3DF마르코 살라
4MF벤 라신 코네
5DF에도아르도 골다니가
6MF알레시오 이오비네
7FW가브리엘 스트레페자
8MF다니엘레 바셀리
9FW알레산드로 가브리엘로니
10FW파트리크 쿠트로네
11FW안드레아 벨로티
12GK피에르 볼치니
13DF알베르토 도세나
14FW알리 자심
15DF펠리피 자크
16FW알리유 파데라
17FW알베르토 체리
18DF알베르토 모레노
19DF라파엘 바란
20MF세르지 로베르토
22GK마우로 비고리토
23MF막시모 페로네
25GK페페 레이나
26MF야니크 엥겔하르트
27MF마티아스 브라우뇌더
33MF루카스 다 쿠냐
36MF루카 마치텔리
58MF주세페 마차글리아
77DF이그나스 판 더르 브렘트
79MF니코 파스
90FW시모네 베르디
93DF페데리코 바르바


3. 2. 역대 주요 선수

wikitext

4. 경기장

코모는 코모 시에 위치한 "캄포 디 비아 데이 밀레"에서 첫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장은 1911년 10월 1일에 개장되었으며, 인테르나치오날레가 밀라네세를 8–0으로 이기고, 코모가 벨린초나를 3–1로 이기는 두 번의 친선 경기가 열렸다. 그 후 코모는 1928년까지 이 경기장을 사용하여 다양한 대회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15]

주세페 시니갈리아 경기장


1928-29 시즌에 코모는 현재까지 홈 경기를 치르는 주세페 시니갈리아 경기장으로 옮겨 프리마 디비시오네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장은 베니토 무솔리니의 지시로 건설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사망한 이탈리아의 조정 선수이자 전쟁 영웅인 주세페 시니갈리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3] 이 경기장은 1927년 7월 30일에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롬바르디아 간의 국제 경기로 개장되었으며, 오스트리아가 3–1로 승리했다.

이 경기장은 코모 시의 소유이며 13,602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조반니 그레피가 설계한 이 경기장은 이탈리아 합리주의 건축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44] 코모는 2024년 5월 세리에 A로 승격했지만, 현재 경기장이 리그에서 정한 최소 수용 인원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해 2024–25 시즌 동안 시니갈리아에서 홈 경기를 치를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시즌 시작 전에 경기장 수용 인원을 늘리기 위한 긴급한 작업이 필요하다.[37]

5. 라이벌 관계

2021년 4월, 다큐멘터리 시리즈 ''코모 1907: 진실된 이야기''가 공개되었다. 이 시리즈는 클럽의 경기뿐만 아니라, 자룸 그룹 소유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려는 이탈리아 3부 리그 클럽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탐구한다. 이 다큐멘터리 시리즈는 자룸 그룹의 자회사이기도 한 인도네시아 스트리밍 서비스 몰라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되었다.[50]

촬영 시작부터 후반 작업까지 제작 과정은 1년 반이 걸렸으며, 약 30억인도네시아 루피아가 소요되었다. 이 시리즈 제작은 클럽의 한 시즌 전체를 촬영했기 때문에 꽤 긴 시간이 걸렸다.[51]

6. 역대 감독

이름국적연도
마리오 바치1913–1914
구스타보 카레르1914–1915, 1919–1920, 1926–1927
주세페 아이롤디1922–1923, 1929–1930
카를로 바리니1923–1924
에른스트 푸르트1924–1925
귀도 아라1927–1929
게데온 오이겐 루카치1930–1932
아돌포 발론치에리1932–1934
루이지 체베니니1934–1935
체사레 부티1935–1938
안토니오 체티1938–1944
안젤로 베닌카사1944–1945
조반니 바티스타1945–1946
에랄도 몬제글리오1946–1947
요제프 비올라1947
로베르트 빈클러1947–1948, 1951–1952
마리오 바르글리엔1948–1951
알프레도 마조니1951, 1952
로베르트 빈클러, 마르티니1952–1953
루이지 보니초니1953
우고 라만나1953–1960
주세페 발디니1960–1962
프란체스코 토르타톨로, 줄리오 카펠리 || 1962

|-

| align="left" | 프랭크 페데르센, 줄리오 카펠리 || || 1962–1963

|-

| align="left" | 조반니 자놀로, 줄리오 카펠리 || || 1963

|-

| align="left" | 앙리 제라르 오귀스틴, 줄리오 카펠리 || || 1963

|-

| align="left" | 비니치오 비아니 || || 1963–1965

|-

| align="left" | 마리오 트레치 || || 1965–1967

|-

| align="left" | 프랑코 비비아니 || || 1967–1969

|-

| align="left" | 로베르토 레리치 || || 1969

|-

| align="left" | 마이노 네리 || || 1969–1970

|-

| align="left" | 지노 지아롤리 || || 1970–1971

|-

| align="left" | 에우제니오 베르셀리니 || || 1971–1973, 1990–1991

|-

| align="left" | 주세페 마르키오로 || || 1973–1975, 1978–1982

|-

| align="left" | 베니아미노 칸시안 || || 1975–1976

|-

| align="left" | 오스발도 바뇰리 || || 1976–1977

|-

| align="left" | 제나로 람보네 || || 1977–1978

|-

| align="left" | 루이스 수아레스 || || 1978

|-

| align="left" | 나르시소 페초티 || || 1978

|-

| align="left" | 조반니 세게도니 || || 1982

|-

| align="left" | 타르치시오 부르니치 || || 1982–1984, 1988, 1993

|-

| align="left" | 오타비오 비안키 || || 1984–1985

|-

| align="left" | 로베르토 클라글루나 || || 1985

|-

| align="left" | 리노 마르케시 || || 1985–1986, 1988–1989

|-

| align="left" | 에밀리아노 몬도니코 || || 1986–1987

|-

| align="left" | 알도 아그로피 || || 1987–1988

|-

| align="left" | 안젤로 페레니 || || 1989

|-

| align="left" | 지암피에로 비탈리 || || 1989

|-

| align="left" | 조반니 갈레오네 || || 1989–1990

|-

| align="left" | 안젤로 마솔라 || || 1990

|-

| align="left" | 피에르루이지 프로시오 || || 1991–1992

|-

| align="left" | 안드레아 발디노치 || || 1992–1993

|-

| align="left" | 마르코 타르델리 || || 1993–1995

|-

| align="left" | 알레산드로 스칸차니 || || 1995–1997

|-

| align="left" | 장피에로 마리니 || || 1997, 2000

|-

| align="left" | 마리오 베레타 || || 1997

|-

| align="left" | 엔리코 카투치 || || 1997

|-

| align="left" | 케아니니 헤위토 || || 1997

|-

| align="left" | 잔카를로 센티 || || 1997–1998

|-

| align="left" | 조반니 트라이니니 || || 1998–1999

|-

| align="left" | 발터 데 베키 || || 1999–2000

|-

| align="left" | 로리스 도미니시니 || || 2000–2002

|-

| align="left" | 에우제니오 파세티 || || 2002–2003

|-

| align="left" | 로베르토 갈리아 || || 2003–2004

|-

| align="left" | 실바노 폰톨란 || || 2004

|-

| align="left" | 시모네 볼디니 || || 2004–2005

|-

| align="left" | 자코모 가투소 || || 2005–2006, 2020–2022

|-

| align="left" | 마르코 팔세티니 || || 2006

|-

| align="left" | 마우리치오 파롤리니 || || 2006

|-

| align="left" | 에르네스티노 라멜라 || || 2006–2007, 2011–2012

|-

| align="left" | 닌니 코르다 || || 2007–2008

|-

| align="left" | 코라도 코타 || || 2008–2009

|-

| align="left" | 스테파노 디 키아라 || || 2009

|-

| align="left" | 오타비오 스트라노 || || 2009

|-

| align="left" | 오스카 브레비 || || 2009–2010

|-

| align="left" | 카를로 가라발리아 || || 2010–2011

|-

| align="left" | 실비오 파올루치 || || 2012–2013

|-

| align="left" | 조반니 콜레라 || || 2013–2014

|-

| align="left" | 카를로 사바티니 || || 2014–2015

|-

| align="left" | 잔루카 페스타 || || 2015–2016

|-

| align="left" | 스테파노 쿠오기 || || 2016

|-

| align="left" | 파비오 갈로 || || 2016–2017

|-

| align="left" | 마크 율리아노 || || 2017

|-

| align="left" | 안토니오 안드레우치 || || 2017–2018

|-

| align="left" | 마르코 반키니 || || 2018–2020

|-

| align="left" | ''마시밀리아노 구이데티'' || || 2022

|-

| align="left" | 모레노 롱고 || || 2022–2023

|-

| align="left" | ''세스크 파브레가스'' || || 2023

|-

| align="left" | ''마르코 카세티'' || || 2023

|-

| align="left" | ''오시안 로버츠'' || || 2023–2024

|-

| align="left" | 세스크 파브레가스 || || 2024–

|}

참조

[1] 웹사이트 Psg e Real? Macché, i club più ricchi del mondo sono Oviedo e Rennes! E in Italia comanda... il Como https://www.gazzetta[...] 2024-04-05
[2] 웹사이트 Il club più ricco d'Italia è tornato in serie A https://www.today.it[...] 2024-05-11
[3] 웹사이트 Elenco delle società C.R. Lombardia https://www.crlombar[...] 2020-10-02
[4] 웹사이트 Como paperone coi fratelli Hartono, Commisso (Fiorentina) e Friedkin (Roma) al top in Serie A: le proprietà più ricche https://www.eurospor[...] 2024-04-03
[5] 웹사이트 Renzo Rosso, Giovanni Arvedi e Rocco Commisso: chi sono i proprietari più ricchi del calcio italiano https://forbes.it/20[...] 2024-05-24
[6] 웹사이트 Come ha fatto il Como a tornare in Serie A: Fabregas, Henry e i proprietari più ricchi in Italia https://www.fanpage.[...] 2024-05-10
[7] 웹사이트 Cosenza e Como, promozione in C2 http://www.corriered[...] Corriere dello Sport 2008-04-27
[8] 웹사이트 Stagione Sportiva 2017/2018 Comunicato Ufficiale N°14 del 14/8/2017 http://seried.lnd.it[...] Federazione Italiana Giuoco Calcio Lega Nazionale Dilettanti
[9] 웹사이트 I 10 proprietari più ricchi del calcio italiano https://sport.sky.it[...] 2022-04-06
[10] 웹사이트 Calcio, i proprietari di club più ricchi al mondo https://sport.sky.it[...] 2024-04-04
[11] 웹사이트 Il Como è in Serie A: dalla D alla gloria in cinque anni, la visione di SENT è compiuta https://www.goal.com[...] 2024-05-10
[12] 웹사이트 L'ambizioso progetto del Como in Serie A: da Pau Lopez a Varane e Belotti, tutti gli obiettivi https://www.goal.com[...] 2024-07-07
[13] 웹사이트 Como in serie A: stadio, un miliardo di valore e merchandising. Il club più ricco d'Italia ora può sognare in grande https://www.corriere[...] 2024-05-11
[14] 웹사이트 F.C. Como http://www.fc-como.i[...] fc-como.it
[15] 웹사이트 La storia http://www.fc-como.i[...] calciocomo1907.it
[16] 서적 Como 1907-2007. Cent'anni in azzurro Editoriale Corriere di Como
[17] 서적 Giancarlo Menotti (a cura di), 80º Calcio Como. 1907-1987 Edistudio
[18] 웹사이트 Die Tabelle am 3. Spieltag der italienischen Serie A 1951/1952 http://www.fussballd[...] 2012-09-27
[19] 뉴스 Ecco come salverò il Como http://archiviostori[...] 2004-12-29
[20] 웹사이트 (Questioni relative al fallimento della società di calcio Como – n. 2-01566) http://wai.camera.it[...] 2005-06-30
[21] 웹사이트 Como http://legaproago.fo[...] Lega Pro
[22] 웹사이트 Il Como è di Lady Essien "Vi porteremo in serie B" http://www.laprovinc[...] 2017-03-16
[23] 간행물 LEGA PRO: L'ESITO DEL CONSIGLIO DIRETTIVO http://www.lega-pro.[...] Lega Pro 2017-07-03
[24] 간행물 Comunicato Ufficiale N°191/A (2016–17) http://www.figc.it/A[...] FIGC 2017-06-30
[25] 뉴스 Como 1907 ammesso in sovrannumero alla serie D intanto arriva il nuovo sponsor tecnico http://www.espansion[...] Espansione TV 2017-08-02
[26] 간행물 Serie D 2017/2018: I gironi http://seried.lnd.it[...] Serie D 2017-08-11
[27] 웹사이트 Più ricchi di Berlusconi e Zhang: i proprietari del Como guadagnano 4 milioni l'ora Ecco chi sono https://www.corriere[...] 2022-07-29
[28] 뉴스 Djarum buys Italy's third tier soccer club https://www.thejakar[...] 2019-10-18
[29] 뉴스 Exclusive: Como 1907 reveal plans to build club from ground up like Atalanta https://www.tribalfo[...] 2022-04-21
[30] 웹사이트 Como 1907, Wujud Ambisi Grup Djarum di Sepak Bola https://www.kompas.i[...] 2022-08-30
[31] 웹사이트 Thierry Henry explains his plans for Como https://football-ita[...] 2022-08-29
[32] 웹사이트 Como, ecco Henry: "Qui si è aperto un nuovo capitolo della mia vita. Fabregas? È pronto..." https://www.gazzetta[...] La Gazzetta dello Sport 2022-08-29
[33] 웹사이트 Como and Parma promoted to Serie A, play-offs set https://football-ita[...] Football Italia 2024-05-10
[34] 웹사이트 I proprietari dei club calcistici più ricchi in Italia e nel mondo https://www.90min.co[...] 2024-04-05
[35] 웹사이트 Qual è il club più ricco d'Italia? La classifica sorprende https://quifinanza.i[...] 2024-04-06
[36] 웹사이트 Glamour in A, come è nato il nuovo Como https://sport.sky.it[...] 2024-05-11
[37] 웹사이트 Como's Race Against Time https://calcioenglan[...] CalcioEngland.com 2024-04-06
[38] 웹사이트 Como http://scudettitalia[...] Scudetti Italia
[39] 웹사이트 Loghi e Simboli sulle Maglie https://www.museodel[...] 2020-04-23
[40] 서적 Como 1907-2007. Cent'anni in azzurro Editoriale Corriere di Como
[41] 웹사이트 Elenco delle società C.R. Lombardia https://www.crlombar[...] 2020-10-02
[42] 웹사이트 I PRODOTTI COMO1907: PURA PASSIONE BIANCOBLU – Como 1907 http://www.como1907.[...]
[43] 웹사이트 Stadio http://www.calciocom[...]
[44] 서적 Guida d'Italia - Lombardia (esclusa Milano) Touring Editore
[45] 웹사이트 Curva Nord: Como http://cremona.alter[...] 2004-11-21
[46] 웹사이트 Ultras in ITALIA: Lombardia http://www.biangoros[...] 2011-07-01
[47] 웹사이트 Monza-Como, il derby "eterno" con vista playoff {{!}} Sky Sport http://sport.sky.it/[...]
[48] 뉴스 Superpromozione per il Monza–Super https://www.bdl.serv[...] 1967-06-08
[49] 웹사이트 Derby Monza – Como, perché i lariani ci stanno tanto antipatici.. https://www.monza-ne[...] 2021-11-14
[50] 웹사이트 Como 1907: The True Story, Kisah Penyelamatan Klub Sepak Bola Italia https://sports.sindo[...] 2021-04-22
[51] 웹사이트 Produksi Serial Como 1907: The True Story Telan Dana Rp 3 Miliar https://www.jawapos.[...] 2021-04-20
[52] 웹사이트 Como squad https://comofootball[...]
[53] 웹사이트 Trofeo Borgonovo: La 10ª edizione è di Facchin https://comofootball[...] 2022-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